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축구역사26

유럽리그 열번째 클럽 <리즈유나이티드 리즈시절 그시절 > 리즈 유나이티드는 어떤 팀인가요? 리즈는 지역 라이벌 리버풀과 더불어 영국 축구계 양대 산맥이라 불리는 유서 깊은 명문 구단이다. 연고지는 북서부 머지사이드 주 리즈이며, 홈구장은 앨런드 로드 스타디움이다. 한때 유럽 최고의 공격수였던 앨런 시어러가 뛰었던 팀이기도 하다. 리즈유나이티드의 창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리즈유나이티드는 1905년 10월 17일 리즈에서 창단되었습니다. 창단 당시에는 리즈시티 FC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으며, 창단 멤버는 주로 지역주민들이 참여했습니다. 창단 당시에는 리즈의 다른 축구 클럽들과 경쟁하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었습니다. 리즈 유나이티드는 왜 유명해졌나요? 리즈 유나이티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나 리버풀처럼 큰 명성을 얻지는 못했지만, 영국 내에서는 꽤 인기있는 팀입니다.. 2023. 3. 27.
선수들의 루틴?새가슴? 징크스의 유래와 대표적인 사례 축구경기에서는 선수들이 경기장에 입장하기전에 자신만의 징크스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골키퍼인 경우 공을 들고 골대 앞에서 기도를 한다던지, 주장과 부주장은 악수를 하고 들어간다던지 하는 행동들을 하는데 이는 미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한다. 축구 선수들이 경기전에 하는 행동 중 또 하나로 유니폼 안에 속옷을 입지 않는것입니다. 이 미신은 꽤나 오래전부터 이어져오고있는데요, 실제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속옷을 착용했을때 보다 그렇지 않았을때 골 결정력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저도 항상 직관갈때마다 일부러 속옷을 입고가지 않아요. 그러면 왠지모르게 골이 많이 들어가는 느낌이랄까..ᄒᄒ 하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미신이기때문에 굳이 하실 필요는 없어요! 징크스란 무.. 2023. 3. 14.
아메리카국가들의 축구전쟁 코파아메리카 ! 코파아메리카는 남미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대회이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제1회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파라과이 등 4개국이 참가하였다. 1934년 이탈리아 대회부터는 브라질과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등 6개국이 참가하였으며, 1950년 멕시코 대회부터는 아르헨티나와 콜롬비아가 공동 개최하면서 8개국 체제로 운영되었다. 이후 1970년 캐나다 대회까지는 모두 10개국이 참가하였으나, 1972년 서독 대회부터 1993년 미국 대회까지는 9개국씩 출전하였고, 1994년 미국 대회부터 다시 10개국 체제로 복귀하였다. 1996년 애틀랜타 대회 때는 11개국이 참가하기도 하였다.원래 명칭은 남아메리카축구선수권대회였으나, 1991년 FIFA 월드컵과 마찬.. 2023. 3. 13.
아시아국가들의 축구전쟁 아시안컵 ! 아시안컵(Asian Cup)은 아시아 축구연맹(AFC)이 주관하는 아시아 대륙의 대표 국가 대회입니다. 1956년 처음으로 개최된 이 대회에는 아시아대항전 대신에 축구 대회로 출전국이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이어진 역대 대회에서는 일본과 쿠웨이트가 4판씩 우승하며 우승을 경험한 국가는 총 15개국입니다. 아시안컵 최다 우승국은 어디인가요? 현재 아시안컵 최다 우승국은 이란입니다. 총 7회 우승했으며, 아시아 최강팀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일본이 6회로 준우승 4회(1956, 1960, 1964, 1970)라는 아쉬운 전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5회로 공동 3위이며, 호주 역시 4회로 공동 3위입니다. 마지막으로 UAE가 3회로 공동 8위입니다. 아시안컵 역.. 2023. 3. 13.
유럽국가들의 축구전쟁 EURO ! 첫번째 축구EURO 대회는 1960년에 개최되었습니다. 최초 대회 개최 국가는 프랑스였으며 이후 4년마다 대회가 열렸습니다. 현재까지 총 16번의 대회가 열리면서 많은 역사와 함께했습니다. 유럽축구대회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1954년 프랑스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당시 대회 명칭은 ‘유럽 네이션스컵’이었으며, 4년마다 열렸으나 1968년부터는 2년 주기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1992년 UEFA(유럽축구연맹) 회원국 확대 이후 1996년부터 현재처럼 4년 주기로 열리고 있다. 왜 하필이면 이름이 유로인가요? 유로는 UEFA Europa League의 줄임말입니다. 원래 명칭은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이었는데 2000년 이후부터는 UEFA Europa League로 바뀌었습니.. 2023. 3. 13.
세계인의 축구 축제 월드컵! 월드컵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있죠? 붉은 악마, 4강신화, 2002년 한일 월드컵 등등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단어들이죠. 하지만 정작 한국인이지만 축구에 관심이 없다면 모르는 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이번 주제는 월드컵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뤄보려고 해요. 월드컵이란 무엇인가요? 월드컵은 단일 종목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스포츠 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이후 4년마다 한 번씩 열리고 있으며 현재 32개국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예선 방식은 지역별로 진행되며 본선 진출 티켓은 총 24장입니다. 각 대륙별 출전권은 유럽 13장, 아프리카 5장, 아시아 4.5장, 북중미 3.5장, 남미 2.5장, 오세아니아 0.5장이며 나머지 1장은 개최국에게 주어집니다... 2023. 3. 13.
축구의 기본규칙 9 < 축구 심판 > 축구 경기장 안에서는 선수들이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공정한 판정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을 우리는 ‘심판’이라 부른다. FIFA(국제축구연맹) 산하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사무총장인 필리프 크라벤호퍼 박사에게 듣는 세계 축구 심판의 역사다. 심판은 어떤 사람인가요? 주심의 경우 국제축구연맹(FIFA)에서 주관하는 FIFA A매치나 올림픽 등 큰 대회에서만 활동하기 때문에 국내 리그에서는 자주 보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K리그 클래식 팀 감독이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유명한 심판이 있는데요, 바로 최광보 심판입니다. 현재 한국프로축구연맹 소속 심판위원장이자 대한축구협회 전임심판으로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심판이기도 하죠. 이렇게 높은 위치에 있는 심판이지만 항상 겸.. 2023. 3. 13.
축구의 기본규칙 8 < 공정한심판 VAR 판독시스템 > 축구에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공정성입니다. 그러나 심판의 판단에 따라 공정성이 해치기도 합니다. 그래서 세계 축구 기구인 FIFA에서는 VAR(Video Assistant Referee)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그럼 VAR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축구 VAR이란 무엇인가요? VAR은 비디오 어시스턴트 리프리 (Video Assistant Referee)의 약자로서, 판정과 관련된 오류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기술입니다. 이전의 축구에는 실시간 판정을 위해 4명의 주심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판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비디오 판독관이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판정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VAR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나요? VAR 시스템은 심판이 경기장에서 인지하지 못.. 2023. 3. 13.
축구의 기본규칙 7 < 축구장 크기?규격?사이즈? 왜?> 축구 좋아하시나요? 저는 보는것도 좋아하고 하는것도 좋아하는데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독 좋아하는 스포츠인만큼 월드컵 시즌마다 온 나라가 들썩이는 거 같아요. 2002년 한일월드컵 이후로는 특히나 국민스포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이렇게 인기있는 스포츠이지만 막상 경기장 크기라던가 골대 위치 등 세부사항들을 정확히 알고 계신분들은 많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축구장 규격과 관련된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준비했어요. 국제경기에서는 왜 직사각형 모양의 구장을 쓸까요? 사실 국제경기용 축구장규격은 정해져있지 않아요. FIFA규정상 길이 105m, 폭 68m 이상이면 어떤 형태든 상관없답니다. 하지만 유럽국가간 대항전인 챔피언스리그 같은 경우엔 UEFA 규정에 의해 8각형 또는 10각형 그라운드를.. 2023. 3. 13.
축구의 기본규칙 6 < 손을쓰는 축구선수? 골키퍼 > 축구하면 떠오르는 포지션 중 하나인 골키퍼! 하지만 이 골키퍼라는 포지션은 다른 포지션과는 다르게 상당히 독특한 위치에 서있는 포지션이에요. 공격수나 미드필더와는 달리 골을 막는 수비수임에도 불구하고 공을 직접 차거나 슈팅을 하는 일이 거의 없고 오로지 골대 앞에서 상대방의 슛을 막아내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어렵고 힘든 포지션이기도 해요. 그래서 많은 선수들이 기피하기도 하고, 실제로 역대 최고의 골키퍼라고 불리는 야신 역시 처음엔 키퍼보다는 윙어 출신이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지금까지의 골키퍼 계보는 어떻게 이어져왔을까요? 골키퍼란 어떤 포지션인가요? 골키퍼는 말 그대로 골문을 지키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즉, 필드 플레이어(공격수, 미드필더)가 아니라 최후방 수비수.. 2023.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