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리그7

K리그의 역사 일곱번째 <제주유나이티드> 제주유나이티드는 대한민국 프로축구 1부리그인 K리그 클래식 소속팀이다. 연고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이며 홈구장은 제주월드컵경기장이다. 팀명인 제주유나이티드는 섬이라는 특성상 선수들이 경기 중 거친 플레이를 하지 않고 매너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지어졌다. 현재 감독은 남기일감독이고 주장은 오반석선수다. 2018년 시즌 리그 성적은 10승 13무 14패로 8위를 기록했다. 제주유나이티드의 창단연도는 언제인가요? 제주유나이티드는 1982년 12월 16일 유공 코끼리 축구단이란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당시 구단주는 고 정인영 한라그룹 명예회장이었다. 1986년 2월 15일 현대 호랑이 축구단으로 변경되었고 1989년 5월 31일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으로 변경되었다. 1995년 7월 17일 부천 SK에게 인.. 2023. 3. 8.
K리그의 역사 여섯번째 <울산현대> 울산현대 축구단은 대한민국 프로축구 K리그 클래식 소속 구단이다. 전신인 현대 호랑이 축구단 시절을 포함하면 통산 10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포항 스틸러스(11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우승 횟수이며, 한국프로축구연맹 역대 최다 우승팀이기도 하다. 또한 FA컵에서도 총 5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함께 공동 1위다. 특히 2009년과 2012년에는 2연패를 달성하기도 했다. 2013년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4강에 진출하였다. 2016년 시즌부터는 리그 명칭이 K리그 클래식으로 변경되면서 현재까지는 유일하게 강등되지 않은 팀이다. 울산현대라는 팀명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울산현대팀 이름은 '호랑이' 라는 뜻인 ‘호랭이’ 에서.. 2023. 3. 8.
K리그의 역사 다섯번째 <전북현대모터스FC> 전북현대모터스FC는 대한민국 K리그 클래식 소속 축구단이다. 연고지는 전라북도 전주이며, 홈구장은 전주월드컵경기장이다. 모기업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현대자동차다. 팀명인 '전북'은 구단주 정몽규 회장의 성인 '정'과 팬들이 사랑하는 선수 이동국의 이름 중 '국'자를 따서 만들었다. 2003년 창단 이래 리그 우승 5회, FA컵 우승 1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1회 등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09년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AFC 챔피언스리그 전신) 결승전에서 알 사드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이 경기 이후 중동 자본 유입설이 돌았다. 2010년 6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투자청으로부터 4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2011년 7월 중국 광저우 헝다 타오.. 2023. 3. 8.
K리그의 역사 네번째 <성남FC> 성남FC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K리그 팬이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시민구단이라는 이미지가 떠오를텐데요. 하지만 최근 몇년간 계속해서 강등권 싸움을 하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올해 초 김남일 감독이 부임하면서 팀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는데요. 특히 지난시즌 극적인 잔류를 이뤄낸 후 이번 시즌 초반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상위권 경쟁을 하고있습니다. 과연 성남FC는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성남FC만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첫번째 장점은 역시 가성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팀들과는 다르게 기업구단이 아닌 시민구단이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에 훌륭한 선수들을 영입할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 장점은 열정적인 서포터즈 입니다. '까치군단' 이라는 별명답게 까.. 2023. 3. 8.
K리그의 역사 세번째 < FC서울 > FC서울이라는 팀 이름 들어보셨나요? 아마 축구팬이라면 다들 아실텐데요~ K리그 1부 리그인 K리그 클래식 소속팀입니다. 이 팀은 원래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고 있었으나 지난 2012년 2월 9일 구단과 팬들의 합의 하에 경기도 구리시로 연고지를 이전했습니다. 그래서 현재 홈구장은 GS챔피언스파크(구리) 입니다. 이번 시즌 성적은 6승 5무 8패로 11위이고, 최근 10경기 전적은 4승 0무 6패이며, 올 시즌 득점은 19득점, 실점은 24실점입니다. 지금부터는 FC서울에 대한 소개 및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C서울의 마스코트는 뭔가요? FC서울의 마스코트는 '씨드'라는 이름의 수호신 캐릭터입니다. 씨드는 한국 프로축구 최초의 마스코트로 탄생했으며,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 국가대.. 2023. 3. 8.
K리그의 역사 두번째 <강원FC 와 승강제도입> 국내 축구계에서는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라는 두 개의 리그가 존재하는데요. 이 두 리그 사이에는 승강제가 적용되고 있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프로축구팀 중 한 팀인 강원FC의 승격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승강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승강제란 무엇인가요? 한국프로축구연맹(KFA)은 매년 각 구단들을 평가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거둔 팀에게는 1부리그인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시키고, 그렇지 못한 팀은 2부리그인 K리그 챌린지로 강등시키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승강제라고 하는데요. 즉, 시즌 종료 후 하위권 4개 팀은 다음 시즌 2부리그로 강등되고, 상위권 4개 팀은 1부리그로 승격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최하위 9위 팀은 무.. 2023. 3. 8.
K리그의 역사 첫번째 <수원삼성블루윙즈> 국내 축구팬이라면 누구나 가슴 속에 품고있는 팀이 있죠.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제 마음속엔 언제나 수원삼성블루윙즈가 자리잡고있어요. K리그 팬으로서 우리나라 축구팀 중에서는 단연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이번 주제는 저의 최애팀인 수원삼성블루윙즈의 역사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수원삼성블루윙즈라는 이름은 언제부터 사용했나요? 1995년 창단 당시 연고지는 안양LG치타스였습니다. 하지만 LG그룹과 FC서울과의 관계처럼 서울연고권 문제로 인해 1997년 1월 15일 지금의 수원시로 연고지를 이전하게 됩니다. 이때 명칭 또한 '수원삼성'으로 변경됩니다. 이후 2004년 12월 8일 삼성전자로부터 300억원 규모의 지원금을 받고 현재의 구단명인 '수원삼성블루윙즈'로 다시한번 바뀌게 됩니다. 수.. 2023.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