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KBO

신바람야구 LG트윈스~ 이제는 우승해야

현서빙 2023. 3. 27. 14:53
반응형

야구팬이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팀이 있죠? 저는 야구팀 중에서도 LG트윈스 팬입니다. 최근 몇년간 부진했지만 올해 다시 가을야구 진출을 노리고있는 LG트윈스! 응원하면서 알게된 LG트윈스의 역사를 여러분과 공유하려고 합니다.

LG트윈스 창단연도는 언제인가요?
LG트윈스는 MBC청룡 시절인 1982년에 창단되었습니다. 당시 서울연고구단이었던 삼미슈퍼스타즈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한국프로야구 최초로 개막전승리를 기록했습니다. 이후 1990년 태평양 돌핀스에게 패하기 전까지 무려 27시즌동안 단 한번도 지지않으며 정규리그 우승 19회, 한국시리즈 우승 4회라는 엄청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암흑기로 접어들며 많은 팬들이 떠났고, 현재는 10개 구단 중 9위를 기록중입니다.

LG트윈스 역대 감독은 누가 있나요?
역대 감독으로는 이광환(1991~1993), 박종훈(1994~1995), 김재박(1996~1999), 이순철(2000~2003), 김기태(2004~2007), 양상문(2008~2013), 류중일(2014~2016), 양상문(2017~2018), 차명석(2019~2020)감독이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 시즌 후 FA였던 이진영 선수를 영입함으로써 프랜차이즈 스타 박용택선수와 함께 영구결번식을 거행하기도 했습니다.


백인천 감독하면 떠오르는 선수가 있나요?
바로 '헐크' 이만수 입니다.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서 일본과의 결승전에서 역전 만루홈런을 때려내며 대한민국 야구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죠. 특히 포수 포지션임에도 불구하고 홈런왕 타이틀을 따냈어요. 또한 1983년 최초로 트리플크라운(타율, 타점, 홈런 부문 1위)을 달성했는데, 이것은 아직까지도 깨지지 않는 대기록이랍니다.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암흑기때 무슨 일이 있었나요?
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일명 '암흑기'라고 불리는 시기가 있었어요. 1994년 김재현-서용빈 콤비의 활약으로 첫 우승을 차지했지만, 1995년 준우승을 끝으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어요. 1997년 IMF 경제위기 여파로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하였고, 1998년부터는 아예 하위권을 전전하기 시작했답니다. 결국 1999년 시즌 종료 후 쌍방울 레이더스로부터 조규제, 김현욱 등 투수진들을 영입하였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어요. 2002년 김성근 감독 부임이후 잠시 상승세를 탔지만 2003년 다시 추락.. 2004년 이순철 감독 체제 하에서도 반등하지 못하다가 2005년 마침내 9년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하지만 SK와이번스에게 무릎을 꿇으며 아쉽게 마무리되었죠.

2007년 신바람 야구란 무엇인가요?
2002년 부진하던 LG트윈스를 맡아 기적같은 리빌딩을 이뤄낸 이광환 감독 덕분에 붙은 별명이에요. 기존의 노장 중심의 라인업을 젊은 선수들 위주로 개편하였는데, 이병규, 박용택, 조인성, 이대형 등 현재 LG트윈스의 주축 멤버들이 모두 2007년 입단 동기랍니다. 만년 꼴찌팀이었던 LG트윈스를 단숨에 상위권으로 끌어올리며 돌풍을 일으켰는데, 이를 가리켜 ‘신바람 야구’라고 불렀답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주역중 한명인 봉중근 선수는 왜 미국으로 갔나요?
2006년 WBC 대회에서의 맹활약으로 메이저리그 스카우터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더니, 2007년 11월 18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계약금 10억원, 연봉 15억원, 옵션 13억원 등 최대 총액 40억원에 이르는 대형계약을 맺으면서 빅리그 무대에 도전하게 됩니다. 2008년 스프링캠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선발투수로서 기회를 얻었지만,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인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2009년 팔꿈치 수술을 받으며 재활에만 몰두하였어요. 2011년 복귀하였으나 2012년 토미존 서저리를 받고 2013년에서야 마운드에 올랐으나 2014년 어깨부상으로 은퇴하였습니다.

MBC청룡 시절 성적은 어땠나요?
1983년 전기리그 4위, 후기리그 6위로 총 8개 구단 중 5위를 기록했고, 1984년엔 전기리그 7위, 후기리그 10위로 최하위를 기록했어요. 그러나 이 해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는데, 삼성라이온즈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면서 탈락했죠. 그리고 이듬해인 1985년 통합우승을 차지하는데, 이때 감독이 바로 백인천 감독이었어요. 그해 타율 0.412 / 출루율 0.524 / 장타율 0.733 이라는 어마어마한 타격기록을 세우며 MVP를 수상하기도 했죠.

LG트윈스의 첫 우승은 언제인가요?
LG트윈스의 첫 우승은 1994년이에요. 그해 정규시즌 2위를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한국시리즈 순으로 진행되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4승 1패로 승리하면서 처음으로 한국시리즈 무대를 밟았어요. 그리고 해태 타이거즈에게 다시 한 번 4승 1패로 승리하면서 팀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답니다.

LG트윈스 최다우승기록은 어떻게 되나요?
LG트윈스의 통산최다우승기록은 총 11회로, 해태타이거즈와 더불어 공동 1위 입니다. 그리고 2002년 플레이오프에서는 삼성라이온즈를 상대로 리버스 스윕을 달성했고, 2007년 준플레이오프에서는 한화이글스를 상대로 2승 무패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첫 승을 신고했습니다. 2013년에는 두산베어스를 상대로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4년에는 넥센히어로즈를 상대로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승리하였습니다. 2015년에는 NC다이노스를 상대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였고, 2016년에는 롯데자이언츠를 상대로 준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였습니다. 2017년에는 SK와이번스를 상대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였고, 2018년에는 KT위즈를 상대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키움히어로즈를 상대로 5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쉽게 패배하였으며, 2020년에는 SSG랜더스를 상대로 6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쉽게 패배하였습니다.

 

반응형